tcp 2

소켓 프로그래밍

[2024.10.28] 필수 온라인 강의 Part4 시스템 프로그래밍 CH04 소켓 프로그래밍 소켓소켓 (socket)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프로세스 간 통신의 종착점- 우체통이라고 생각하는 게 편함!!! 전송계층 위에, 운영계층 아래에 위치함- 송신지 프로세스는 메세지를 소켓으로 보내고 수신지 프로세스는 메세지를 소켓에서 읽는다* 파일 입출력과 비슷!!! 소켓 == 특별한 파일!!!!! 으로 인식소켓의 구성 요소- TCP + IP 혹은 UDP + IP- 출발지 IP 주소- 출발지 포트 번호- 목적지 IP 주소- 목적지 포트 번호소켓 프로그래밍 ≒ 파일 입출력 - 소켓은 특별한 형태의 파일이라 볼 수 있다 - 파일 열기, 닫기, 쓰기, 읽기 - 소켓 열기, 닫기, 송신하기, 수신하기-> 소켓 통신 = 프로..

Study/CS 기초 2024.10.29

네트워크 - 전송 계층

[2024.10.22] 필수 온라인 강의 Part3 네트워크 CH04 전송 계층포트- port : 개발시 정말 많이 주요되는 개념! 전송 계층의 역할 (응용계층 아래, 네트워크 계층 위)   - 응용 계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 식별  : 포트!!!!!!!   - 네트워크 계층의 신뢰성/연결성 확립 : 네트워크계층의 IP한계 해결포트  - 포트 번호는 16비트로 표현 가능(65536개)  - 포트 범위 : 0번부터 65535번까지  - 포트의 종류 : 범위에 따라서 나뉨    - 잘 알려진 포트( 웰 노운 포트, 시스템 포트 ) : 널리 알려진, 유명한 포트               - 업체막론하고 정말 많이 사용하고 식별을 위해 사용됨.    - 등록된 포트 : 잘 알려진 포트에 비해서는 덜 범용적이지..

Study/CS 기초 2024.10.22